GA4 데이터 범위란?
GA4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하려면 데이터 범위(Scope)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A4는 이벤트 기반 데이터 수집 방식을 사용하며, 각 데이터는 특정한 범위를 가집니다.
기본적으로 자동 수집 되는 데이터도 있지만,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맞춤 정의(Custom Definition)를 통해 추가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GA4의 주요 데이터 범위(Scope) 종류
GA4에서 데이터는 다음 세 가지 범위로 분류됩니다.
-
-
사용자 (User Scope)
-
이벤트 (Event Scope)
-
항목 (Item Scope)
-
각 범위마다 데이터가 적용되는 방식이 다르므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자(User) 범위
사용자 범위 데이터는 방문자의 일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정보는 세션이나 요일, 주 단위로 변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장기적인 행동 분석에 유용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예시
첫 방문 날짜: 사용자가 처음으로 사이트를 방문한 날짜
유입 경로: 사용자가 어떤 채널을 통해 처음 방문했는지
회원 여부: 로그인한 사용자인지 여부
사용자 범위 데이터는 한 번 할당되면 새로운 세션이나 이벤트가 발생해도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령, 성별, 구독 플랜과 같은 정보는 방문할 때마다 바뀌지 않으므로, 사용자 범위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사용자 범위 데이터를 설정할 때 주의할 점
- 고유 값 개수(Cardinality)
너무 많은 고유 값을 가지는 데이터(User ID, Client ID 등)는 보고서에서 샘플링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개인정보 관련 데이터
이메일,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GA4에 전송하는 것은 Google 정책 위반이며, 법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벤트(Event) 범위
이벤트 범위는 사용자가 수행한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추적하는 단위입니다.
GA4는 기본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이벤트 단위로 저장하며, 각 이벤트에는 다양한 속성(매개변수)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시
페이지 보기(page_view
):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를 방문한 경우
버튼 클릭(click
): 특정 버튼을 클릭한 경우
구매 완료(purchase
):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한 경우
이벤트 범위 데이터는 특정 이벤트에만 적용되므로, 같은 사용자가 여러 번 같은 행동을 하면 이벤트 별로 각각 저장됩니다.
항목(Item) 범위
항목(Item) 범위 데이터는 전자상거래(e-commerce) 이벤트 내에서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제품 ID(item_id
): 사용자가 구매한 제품의 고유 ID
가격(price
): 제품의 가격
카테고리(category
): 제품이 속한 카테고리
항목 범위 데이터는 한 개의 이벤트 내에서 여러 개의 상품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번의 구매 이벤트에서 여러 개의 제품을 구매하면, 각 제품별로 개별적인 데이터가 기록됩니다.
데이터 범위를 정확히 이해해야 하는 이유
GA4에서 데이터 범위를 정확히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데이터 해석의 정확성과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데이터 범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잘못된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즈니스 전략이 잘못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벤트와 사용자 데이터 범위를 예시로 들어 이해해보겠습니다.
이벤트 범위와 사용자 범위 비교하기
예를 들어, page_category
를 이벤트 범위(Event-scoped) 로 설정했는데, 이를 사용자 범위(User-scoped) 로 잘못 해석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A 페이지(page_category = "상품 페이지"
)를 방문한 후, B 페이지(page_category = "결제 페이지"
)로 이동했다고 가정합니다.
page_category
는 이벤트 범위이므로, 사용자가 B 페이지에서 발생시키는 이벤트에는 "결제 페이지"
값이 저장됩니다.
하지만 이를 사용자 범위라고 잘못 이해하면, 사용자가 A 페이지를 방문한 이후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에서 page_category = "상품 페이지"
로 유지된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결제 페이지에 있음에도 데이터 상으로는 여전히 "상품 페이지"
에 머무르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런 오류가 발생하면 페이지별 전환율 분석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결제 페이지”에서 결제 버튼 클릭 이벤트가 발생했지만, 데이터 해석 오류로 인해 “상품 페이지”에서 결제가 이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상품 페이지에서 결제가 많이 발생하니 결제 페이지를 개선할 필요가 없다”는 잘못된 전략을 세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맞춤 정의(Custom Definition) 및 데이터 수집 시 유의사항
GA4에서 맞춤 정의(Custom Definition) 를 활용하면 기본 제공되지 않는 맞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설정이나 데이터 범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분석 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수집 시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사전 정의된 측정 기준 확인
- 맞춤 정의 개수 제한
- 맞춤 정의 등록 후 적용 시간
사전 정의된 측정 기준 확인
GA4에서는 우리가 정의하지 않아도 이미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사전 정의된 측정 기준이 있는 경우에는 맞춤 정의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맞춤 정의를 남발하면 데이터 수집 제한, 불필요한 복잡성 증가, 중복 데이터 발생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GA4에서 이미 제공하는 기본 차원이 있는지 먼저 확인한 후, 꼭 필요한 경우에만 맞춤 정의를 추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잘못된 설정: traffic_source
라는 맞춤 정의를 만들어 방문자의 유입 출처를 트래킹 설정
사전 정의된 측정 기준 및 측정 항목 : session_source
, session_medium
, session_campaign
을 활용하면 같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맞춤 정의 개수 제한
GA4에서는 맞춤 차원과 맞춤 지표에 대해 최대 생성 가능한 개수 제한이 있습니다.
표준 속성 한도 | 360 속성 한도 | |
사용자 범위 맞춤 측정기준 | 25 | 100 |
이벤트 범위 맞춤 측정기준 | 50 | 125 |
상품 범위 맞춤 측정기준 | 10 | 25 |
제한을 초과하면 더 이상 맞춤 정의를 추가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한 맞춤 차원 및 지표를 등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맞춤 정의 등록 후 적용시간
GA4에서 맞춤 측정기준(Custom Dimension)과 맞춤 측정항목(Custom Metrics)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등록한 후 24~48시간 동안은 (not set) 값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에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됩니다.
또한, 기존 데이터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으므로, 맞춤 측정 기준을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A4 데이터 분석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각 데이터 범위를 이해하고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제 데이터 범위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작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