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탄. [PLUS ZERO Roadmap] Business Gap

플러스제로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개선 로드맵_2 | 플러스제로

Business Gap: 시장 확장과 놓치고 있는 매출의 정상화가 최우선 이었다. 

1탄. [PZ Roadmap]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개선 로드맵

2탄. [Business Gap] 시장 확장과 놓치고 있는 매출의 정상화가 최우선 이었다.

3탄. [Insight SEO] 결국 SEO가 유입에서 유입+전환으로 진화하였다.

4탄. [Insight CRO] 구매전환율 최적화는 결국 AB테스트 성공사례 싸움이었다.

5탄. [+Audience] 최고의 개인화는 비로그인을 식별한 오디언스 확장이었다.

 

지난번 PLUSZERO가 생각하는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개선 로드맵에 이어,
Business Gap이라는 주제로 시장을 확장하고, 놓치고 있는 매출을 정상화 하는 방법과 사례에 대해 이야기 할 예정입니다.

 

Business Gap은 시장과 매출 트렌드 비교를 통해 놓치고 있는 Gap을 발굴하고 최소화&정상화 하는 작업입니다.


PLUS ZERO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개선하기 위해 첫번째 단계에서 하는 접근으로, 항상 성과가 좋았던 매출을 올리는 활동입니다. 

 

멋진 상품과 고도화 된 마케팅을 통해 매출을 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기본이지만 의외로 간과하고 있는 수요와 공급. 즉, 시장의 수요를 놓치고 있는 상품을 발견하고 정상화 하는 것 이 매출 개선에 더 쉬운방법 일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갭 Business Gap: 시장 확장과 놓치고 있는 매출의 정상화가 최우선 이었다.

[Business Gap]

1. 수요와 공급의 중요성 

비즈니스 운영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할 것은 수요와 공급입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판매 중인 상품을 고객들이 얼마나 찾고 있는지, 그 수요에 맞춰 적절히 공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일입니다.
만약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다면, 이는 곧 놓친 매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비즈니스 운영을 위해 이를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고 생각합니다.

2. 수요와 공급을 고려하지 않은 비즈니스의 위험성 

수요와 공급을 고려하지 않고, 제품 기획과 마케팅 활동에만 집중하면 투자 대비 매출이 낮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크기(파이)가 작거나 적절하지 않은 시점을 선택한 탓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시장 크기에 비해 매출이 저조하다면, 그 차이는 곧 경쟁사가 가져가는 몫이 됩니다.

 

3. 디지털 비즈니스에서 수요와 공급을 파악하는 간단한 방법 

수요와 공급을 이해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저는 ‘검색량과 매출 트렌드 비교’를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추천합니다.


10분만 투자하면 가능한 작업입니다:

  • 네이버 데이터랩, 구글 트렌드 같은 검색 엔진 툴을 통해 키워드 트렌드를 확인합니다.
  • 이 트렌드와 내 브랜드 매출 또는 상품별 매출과 비교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저는 ‘Business Gap’이라 부릅니다. 이 갭을 줄이는 것이 바로 놓친 매출을 최소화하는 첫걸음입니다. 저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가장 먼저 그 Gap을 줄여, 놓치는 매출을 최소화 하는 작업을 합니다.

심지어 검색량+트렌드 툴도 만들고, Naver 검색량과 GA4 매출을 비교하는 툴을 만들어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갭 Business Gap: 시장 확장과 놓치고 있는 매출의 정상화가 최우선 이었다.

저는 이 접근방법을 15년이 넘는 시간동안 필승전략으로 사용하고 있고, PLUSZEO의 컨설팅 Framework의 가장 첫번째에 두고있습니다. 아마 평생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플러스제로 그로스마케팅 프레임워크

4. 성공 사례: A 패션 브랜드 

이 접근법을 통해 A 패션 브랜드가 매년 100억 원 이상의 추가 매출을 확보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 일반적으로 바람막이는 3~4월에 많이 팔리는 제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그러나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9~10월에도 바람막이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이를 기반으로 가을용 바람막이를 기획하고 홍보하여 비즈니스 갭을 개선했습니다.
  • 결과적으로 매년 100억 원 이상의 추가 매출을 창출했습니다.

 

단편적이지만, 이 사례는 데이터를 활용해 비즈니스 갭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방법의 이상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실행으로 성장하는 인재가 되길 바랍니다
이 글을 보시는 데이터를 사랑하는 여러분은 매출 개선을 고민할 때 이 글을 떠올렸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Business Gap 개선을 통해 인정받는 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시길 바랍니다.

 

플러스제로 대표. 정성진

Popular & Related Posts

플러스제로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개선 로드맵_2 | 플러스제로

Case Study

2025년 1월

2탄. [PLUS ZERO Roadmap] Business Gap

Plus Zero Roadmap Business Gap: 시장 확장과 놓치고 있는 매출의 정상화가 최우선 이었다.
플러스제로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개선 로드맵 | 플러스제로

Case Study

2025년 1월

1탄. [PLUS ZERO Roadmap]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개선 로드맵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매출은 올리라고?” 이 글을 읽은 분들이 최근에 많이 듣는 이야기 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