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3가지 핵심 개념 (이벤트, 세션, 사용자)

ga4이벤트세션사용자

 

GA4(Google Analytics 4)는 사용자 중심의 분석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핵심 요소로 “이벤트(Event)”, “세션(Session)”, “사용자(User)” 세 가지를 중심으로 작동합니다.

이들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구조의 뼈대이자, 모든 지표와 분석의 기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핵심 개념인 이벤트, 세션, 사용자 개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이벤트(Event)란?

 

GA4에서는 모든 데이터 수집 단위가 ‘이벤트’입니다. 즉,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이벤트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를 읽은 경우에는 page_view,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는 click, 동영상을 재생한 경우에는 video_start, 뉴스레터를 구독한 경우에는 sign_up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는 사용자 행동 뿐 아니라 시스템 상의 상태(예: 앱 충돌, 광고 노출 등)까지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가 작동하는 방식

 

사용자가 외부 링크를 클릭하는 상황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외부 링크를 클릭합니다.
  2. GA4는 해당 클릭 이벤트와 그에 대한 파라미터를 실시간 보고서에 표시합니다.
  3. 수집된 이벤트는 GA4 내부에서 정식으로 처리됩니다.
  4. 처리된 데이터는 다양한 리포트, 잠재고객 정의, 맞춤 측정항목 등에서 활용됩니다.

 

이처럼 GA4에서는 ‘모든 것을 이벤트로 본다’는 관점이 매우 중요하며, 원하는 사용자 행동을 정의하고 추적하는 것이 분석의 핵심이 됩니다.

 

 


 

2. 세션(Session)이란?

 

세션은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해서 일정 시간 동안 활동한 기록을 의미합니다. GA4에서는 사용자가 페이지를 본 시점부터 활동이 시작되고, 30분 이상 아무 행동이 없으면 세션이 종료됩니다.

 

즉, 사용자가 페이지를 열어두기만 하고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그 30분 후 자동으로 세션이 끝난다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하여 20분간 활동 후, 10분 쉬었다가 다시 클릭한다면 → 동일 세션
  • 사용자가 접속 후 31분간 아무 활동이 없었다면 → 새로운 세

 

 


 

3. 사용자(User)란? 

 

GA4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기준을 사용합니다.

 

  1. 기기 기반 – Client ID / App Instance ID
  2. 로그인 기반 – User ID
  3. 구글 로그인 및 광고 개인화 설정 기반 – Google Signals

 

 

 

기기 기반 – Client ID / App Instance ID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Client ID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브라우저 쿠키(_ga) 에 저장됩니다. 기기 기반 식별자가 되는 이유는 브라우저와 기기 기준의 쿠키 값으로 사용자를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가 회사에서 크롬으로, 집에서는 사파리로 같은 웹사이트에 접속했다고 생각해볼까요?

 

GA4는 크롬과 사파리 각각을 서로 다른 사용자(Client ID)로 인식하게 됩니다. 브라우저가 변경되었으니 쿠키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앱의 경우에는 App Instance ID가 Client ID와 동일한 역할을 하며, 앱 설치 시 고유 ID가 생성되어 세션과 이벤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참고 : [GA4] Data collection

 

 

 

 

로그인 기반 – User ID

 

User ID는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웹사이트나 앱에서 직접 부여하는 고유 식별자입니다.

 

이 ID는 기업 자체 시스템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연결되며, GA4에 직접 전달되어 기기, 브라우저와 무관하게 사용자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가 PC와 모바일 양쪽에서 로그인해 동일 계정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사용자(User ID)로 인식할 수 있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로그인이 가능한 서비스에서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참고 : [GA4] Measure activity across platforms with User-ID

 

 

 

구글 로그인 및 광고 개인화 설정 기반 – Google Signals 

 

Google Signals는 사용자가 Google 계정에 로그인하고 광고 개인화 기능을 켠 상태에서 웹/앱을 이용할 경우,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GA4가 기기 간 사용자 데이터를 통합해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데스크톱에서 제품을 검색하고, 모바일에서 구매한 경우, 하나의 사용자(Google Signals)로 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사용자 크로스 디바이스 리포팅 외 하단의 여러 기능도 지원합니다.

 

  • 크로스 디바이스 리포팅: Google 계정 기반으로 여러 기기에서의 행동을 통합 분석
  • 리마케팅 기능: GA4에서 정의한 잠재고객을 Google Ads로 연동 가능
  • 광고 보고서 개선: 광고 클릭 → 웹사이트 방문 → 전환에 이르는 경로 파악 가능
  • 인구통계 및 관심사 리포트: 연령, 성별, 관심사 등의 데이터 수집 가능

 

 

다만 Google Signals는 로그인된 사용자 + 광고 개인화 동의가 전제입니다.

따라서 전체 트래픽의 일부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데이터 보존 기간은 최대 26개월로 제한됩니다.

 

참고 : [GA4] Activate Google signals for Google Analytics properties

 

 

 

 

이런 3가지의 사용자 식별 기준을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Client ID User ID Google Signals
식별 기준 브라우저/기기 로그인한 사용자 Google 계정 + 광고 개인화
크로스 디바이스 추적 불가능 가능 가능 (일부)
정확도 낮음 높음 중간
적용 조건 자동 수집 로그인 필요 Google 계정 로그인 + 설정 필요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분석을 위해 사용자 식별을 하는 세 가지 방식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이 세 가지를 GA4는 우선순위 방식으로 조합해 사용합니다. User ID가 있으면 그걸 쓰고, 없으면 Google Signals로 보완, 그것도 없으면 Client ID로 기본 처리하는 식입니다.

 

 

 


 

 

 

이렇듯 GA4에서는 모든 행동이 이벤트 단위로 수집되고, 이 이벤트들이 모여 세션을 구성하며, 이러한 세션이 어떤 사용자로부터 발생했는지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체계화됩니다.

 

오늘 다룬 이벤트, 세션, 사용자라는 GA4의 기초 개념을 통해 데이터 분석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

 

 

 

Popular & Related Posts

GA4 계층 구조 이해하기 - 계정, 속성, 데이터 스트림

Google Analytics

2025년 1월

GA4 계층 구조 이해하기

GA4 계층 구조의 계정(Account), 속성(Property),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이해고, 비즈니스와 분석 목표에 따라 GA4를 설정해보세요!
GA4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심층가이드 | 플러스제로

Google Analytics

2025년 1월

GA4 데이터 스트림 심층 가이드

웹부터 앱까지 모든 사용자 활동을 한눈에 파악하고 싶다면? GA4 데이터 스트림의 강력한 통합 분석 기능으로 더 깊은 인사이트를 얻고,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쳐보세요.
ga4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Google Analytics

2025년 2월

GA4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GA4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는 웹사이트(gtag.js)와 앱(Firebase SDK)을 통해 이벤트를 기록하고 분석하며, GTM으로 태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맞춤 이벤트를 설정합니다.